자존감(42)
-
이별 앞에서 바라는 점이 있다면.(이별을 맞이하는 자세, 헤어짐 극복)
혹시 이별했나요? 문득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어쩌면 이 글을 접한 당신이 지치고 힘든 마음에 도움받을 곳을 찾고 또 찾다가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일지도 모른다고요. 그래서 오늘 이야기는 이별 앞에서 머뭇거리고 있는 당신이 마음을 굳게 먹기 위해 읽었으면 하는 내용을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이별을 다짐하고 가장 힘든 순간은 그 다짐이 무너졌을 때가 아닐까요. 그래서 우리는 아주 깊고 먼 곳에서 이별의 다짐을 한 후에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설령 통제력을 잃은 날에도 다시 번복할 수 없도록 말입니다. 이별을 생각했을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을 것입니다. 그 당시의 이유를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 또한 새로운 사랑은 다시금 찾아온다는 사실도 잊지 않았으면 하고요. 당신의 이별이 너무 진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
2022.06.07 -
사랑은 꽃샘추위일지도 모르겠다.(봄은 생각보다 차가운 계절이다.)
사랑은 꽃샘추위일지도 모르겠다.(봄은 생각보다 차가운 계절이다.) 여러분은 '봄' 하면 어떤 단어가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따뜻함, 포근함, 꽃 등을 생각하실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오늘은 약간 다른 시점으로 차가움을 먼저 떠올리게 하는 글을 가져와 봤어요. 지난 연애를 생각하게 되는 글인 것 같습니다. 봄은 사실 따뜻하고 포근한 것 같아도 겨울만큼이나 추운 계절이기도 합니다. 어쩌면 사랑도 그런 게 아닐까요? 처음에는 좀 따뜻한 것 같다가도 끝에 가서야 한없이 차가워지고 마는. 마치 꽃샘추위처럼. 사랑과 사람으로부터 상처받은 당신에게 中 책 더 보기 ⋯ 카카오톡 선물하기 : http://kko.to/eBStRTRdq yes24 : https://vo.la/oKyqv 교보문고 : ..
2022.05.31 -
자존감을 위한 마인드 컨트롤(자신과 어울리는 것들만 신경 쓰기)
자존감을 위한 마인드 컨트롤(자신과 어울리는 것들만 신경 쓰기) 세상에는 이상한 사람들이 왜 이렇게 많을까요? 이해할 수 없는 상황들은 또 어떻고요. 당신의 몸은 하나인데 이해해 주고 배려해 주고 감당해야 할 것들은 산더미일 것입니다. 가끔은 너무 이상한 세상이라서 원래 다들 이렇게 사는 건데 '나 혼자 잘못 살고 있나'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습니다. 오늘은 이토록 어지러운 세상에서 나 자신을 지키는 마인드 컨트롤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세상을 살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나 자신과 어울리는 것들에 더 집중하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잡아야 할 때만큼 중요한 순간이 놓아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당신은 당신만의 분위기를 지닌 사람이잖아요. 그 분위기를 흐리는 사람과 상황을 멀리하며 지냈으면 하는..
2022.05.19 -
당신의 마음이 가장 중요합니다.(자존감을 높이는 마인드)
당신의 마음이 가장 중요합니다.(자존감을 높이는 마인드)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게 있다면 여러분은 그게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사람의 가치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는 '자기 자신의 마음'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어떤 상황과 이유에 있어서도 이것이 제일 우선이 되어야 하는데요. 그렇지 않으면 희생적인 관계 속에서 지치고 다치기 쉽기 때문입니다. 아마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분들 중에서도 어떤 일에 대해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보다는 상대방의 입장을 미화하면서까지 합리화를 했던 분들이 계실 수 있는데요. 오늘 이야기해 볼 내용은 '당신의 마음'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어떤 경우에도 자기 자신을 해치면서까지 이해하고 인정해야 할 일은 없는 것입니다. 당신이 워낙 낙천적이고 마음이 둥근 사람이라 한두 번은 실수라고 여길 수..
2022.04.27 -
행복의 기준은 당신이 정하는 것입니다.
행복의 기준은 당신이 정하는 것입니다. 쌀쌀했던 겨울이 마저 지나고 한낮 기온이 20도를 육박하는 요즘, 완연한 봄입니다. 거리마다 형형색색의 꽃들이 자신을 뽐내고 있는데요. 나들이 가기 참 좋은 이런 계절에 아이러니하게도,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우울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이런 '봄철 우울감'은 '계절성 정동 장애(Seasonal Affective Disorder)'의 일종인데요. 계절 변화에 따라 겪는 정서적 장애입니다. 이는 보통 일조량이 줄어드는 가을과 겨울철에 사람들이 많이 겪는 질병이지만, 실제로 봄에도 많은 사람들이 겪는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세로토닌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저하되고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가 활성화 되며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신경화학 물질을 전달하는 데 장애가 생겨 우울감을 느끼게..
2022.04.19 -
하고 싶은 것을 해도 되는 이유
하고 싶은 것을 해도 되는 이유 여러분은 각자의 인생에서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살고 있나요? 사실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산다는 게 말처럼 절대 쉬운 일은 아닌 거 같아요. 현실적인 문제도 고려해야 하고 그 뒤에 따르는 책임도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러나 원하는 것을 하지 못했을 때 뒤에 남는 미련과 아쉬움은 말로 설명할 수 없죠. 어쩌면 세상은 우리에게 구조적으로 '하고 싶은 것'보다 '해야 하는 것'을 더 강조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럼에도 오늘 이야기해 볼 내용은 하고자 하는 것을 해도 되는 이유입니다. 초대 그리스도교 교회가 낳은 위대한 철학자이자 사상가인 아우구스티누스의 에는 이런 말이 나옵니다. 'dilige et fac quod vis' [딜리게 에트 파크 쿼드 위스] '사랑하라, 그..
2022.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