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242)
-
우리, 이런 사랑을 해요.
우리, 이런 사랑을 해요. 사랑하는 사람아. 수많은 우연을 거쳐 인연으로 거듭난 사람아. 우리의 앞날이 모두 봄날일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우리 이런 사랑을 하자. 우리 이런 연애를 하자. 시간이 아주 오래도록 나는 너를 아끼고 너는 나를 아끼는 사이가 되자. 사랑과 사람으로부터 상처받은 당신에게 中 책 더 보기 ⋯ 카카오톡 선물하기 : http://kko.to/eBStRTRdq yes24 : https://vo.la/oKyqv 교보문고 : https://vo.la/k42yW [YES24] 나는 너의 불안이 길지 않았으면 좋겠어 지금 카카오톡 선물하기에서 12,600원 gift.kakao.com https://deepandwidebooks.tistory.com/329 살면서 절대로 놓치면 안되는 사람 특징..
2022.03.13 -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세요.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세요. 여러분은 슬플 때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슬픔이란 감정은 몇 번을 마주해도 익숙해지지 않습니다. 또한, 잘못된 방법으로 대처를 하여 충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로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마치 내면에 원래 있었던 아픔처럼 앞으로도 지니고 살아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러다 마음이 지쳐서 느닷없이 눈물이 쏟아질 때면 사실 자기 자신이 그 이유를 가장 잘 알고 있으면서도 타인에게는 그냥 모른다고 말할 때가 있었을 것입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있었을 만한 경험이죠. 이런 감정을 어떻게 해야 잘 대처하고 어쩌다 남은 응어리도 무탈히 해소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감정을 처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하여 이야기를 나눠 보려고 합니다. 울고 싶으면 울어도 되고 늘어지고 싶으면 늘어져도 됩니다..
2022.03.12 -
어떤 사람을 사랑해야 할까?
어떤 사람과 사랑해야 할까? 사람은 상호의존적인 존재입니다. 혼자서만 살아갈 수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사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기쁜 일은 함께 축하해 주고 슬픈 일은 같이 아파하며 정신적·육체적으로 서로 아끼고 존중받으며 살아가야 안정된 삶 속에서 더욱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린 어떤 사람과 사랑해야 할까요? 이 질문은 되게 신중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사랑하는 상대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방식을 가졌는지에 따라서 본인의 삶, 가치관 또는 인생의 전반적인 방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그럼 오늘은 '내가 사랑해야 하는 사람'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혹시 '가스라이팅'을 아시나요?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를 ..
2022.03.11 -
우울을 이겨 내려고 노력해야 하는 이유
우리가 우울을 이겨 내려고 노력해야 하는 이유 혹시 세계적으로 우울증 환자가 대략 얼마나 되는지 알고 있으신가요?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으로 약 3억 명 이상이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매년 우울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데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집계에 의하면 2016년부터 우울증 환자 수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코로나 19가 지구상에 창궐한 이후로 2020년에는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만 83만 명을 넘는다고 해요. 더군다나,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7개국 중 국민 행복 지수가 35위로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는데요. 우울증은 단순한 병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심각하면 극단적인 선택까지 이를 수 있는 무서운 병이라 우리는 ..
2022.03.10 -
우리, 대화가 필요해요.
대화가 필요해. 사랑하는 사람과 하루에 얼마나 대화를 나누시나요? 여성가족부에서 작년(2021년)에 공개한 결과 중 하나인 '배우자와의 하루 평균 대화 시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58.5%가량의 부부가 하루 1시간 미만으로 서로 대화를 나누며 게다가, 4쌍 중 1쌍 정도는 하루 평균 30분도 되지 않은 대화 시간을 가진다고 합니다. 또한,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천국이 2018년 전국 10~50대 이상 남녀 회원을 대상으로 '가족 관계'를 주제로 하여 설문조사를 했는데, 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7.7%('가족과 함께 살고 있다'라고 응답) 중에 37.8%는 하루 가족과의 대화가 20분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족의 대화가 단절되어가는 모습을 구체적인 수치로 보니..
2022.03.09 -
[글 잘 쓰는 법] 글을 쓸 때 가져야 할 태도 :: '필사하는 법'
[글 잘 쓰는 법] 글은 절대로 이론으로 배울 수 없다 '필사하는 법' 글을 잘 쓰고 싶은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작가라는 타이틀은 글을 잘 쓰는 사람에게만 허용되는 걸까요? 아니면 등단을 하고 출간을 한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걸까요? 우리나라에는 글쓰기 능력 시험이 없기 때문에 잘 쓰고 못쓰고를 떠나 글을 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작가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작가라는 말은 단순히 쓰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니까요. 한 명의 작가로서 우리는 글을 쓰지만 자신의 글에 만족이 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할 텝니다. 왜냐하면 줄곧 좋은 글만 보고 살아왔기 때문이죠. 그렇게 되면 자꾸 글존감 [글쓰기 자존감]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흥미까지 잃어버리면 글쓰기는 인생에서 피하고 싶은 존재가 됩니다. 그렇..
2021.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