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70)
-
감성적인 작가들에게 추천해드리고 싶은 일본 애니메이션 <움짤 모음>
감성적인 작가들에게 추천해드리고 싶은 일본 애니메이션 안녕하세요. 딥앤와이드 입니다. SNS에서 활동을 하는 작가들은 글에 맞는 사진을 찾아야만 할 텐데요. 인스타에서는 애니메이션 사진을 이용한 '영화 대사'폼으로 인기를 얻는 작가들이 있죠. 저도 아주 예전에 영화 대사를 통해 콘텐츠를 제작한 사람으로서 여러분들에게 작게나마 자료를 공유하기 위해 포스팅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마녀 배달부 키키부터 가볼까요? :-) ,0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은 참 따라 할 수 없는 감성을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포스팅 한 김에 이 사진들을 이용해서 콘텐츠를 만들어 봐야겠어요 크크,,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여러분! / 우리의 감성을 자극하는 일본 레트로 움짤 많은 사람들이 열풍에 빠져있습니다. 아주 ..
2020.04.22 -
작가의 마인드에 대하여 <작가의 태도>
클래스를 운영하며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작가들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는 것이다. 글을 단순히 쓰는 것도 좋지만 내가 쓴 글을 읽는 것도 글쓰기에 많은 도움이 된다. 목에 힘을 주어 나의 활자를 읽는 행위는 생각보다 두텁고 무시 못할 광경이라고 말하고 싶다. 매주 10명 이상의 작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는 각자의 캐릭터에 대한 정보들을 쌓아간다. 그러다 보면 단순한 문장만으로도 그 사람의 감성을 이해할 수 있는데 여기서 오는 기분은 상당히 쾌활하다고 말할 수 있다. 어떠한 이야기들이 귀에 가득 차면 이제는 내 이야기를 꺼내고 싶은 욕망이 가득 찬다. 그래서 작가님들의 이야기를 다 듣고 맨 마지막에 살포시 내 이야기를 꺼내면 그제야 모든 것을 소화한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끊임없이 무언갈 쓴다는 건 어쩌..
2020.04.01 -
<신간 소개> 에세이 추천 '이름 없는 애인에게'
이름 없는 애인에게 - 정식 출간 오랫동안 하고 싶었던 말은 시간이 지나면 마음속에서 굳어버려 머릿속으로만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그때 우린 손을 움직여 얄궂은 문장들을 써내려간다. 누군가에게 그토록 말하고 싶던 한 마디. 그것들이 모여 한 통의 편지가 완성되면 그 편지는 하나의 작품이 된다. 그 편지의 이름은 사랑이었고 그리움이었다더라. ⠀ 그 사람에게 읽힐 수 없는 것이기에 더 아름답고 빛이 바랄 것이다. 이 책은 사랑하는 사람에게 쓰는 수 십 통의 편지와 사색이 담겨져 있다. 단순한 텍스트가 아닌 손으로 꾹꾹 눌러쓴 아날로그의 감성은 지독한 감정의 골이 담겨있는 글들을 적나라하게 대변해주기에 읽는 내내 우리를 상념에 빠지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독자들의 그리움을 부축하는 책이라고 말할 수 있..
2020.03.17 -
<사랑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신하영 작가 북콘서트
[북토크] 신하영 작가 북콘서트 안녕하세요. 딥앤와이드 출판사입니다. 딥앤와이드 첫 번째 에세이 저자 신하영 작가님의 북토크가 2월 29일 토요일 독립서점 gaga77page에서 진행됩니다.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작가님과 소중한 시간을 만들 수 있는 시간이며 책에 대한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나눌 수 있는 북토크입니다. 좋은 추억을 남기실 수 있게 최선을 다할 테니 많은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하영입니다. 오랫동안 글을 쓰며 몇 권을 책을 냈지만 아직 독자님들과의 시간을 보낸 적은 없는데요. 이번에 좋은 기회가 생겨 몇몇 분들과 마주하고 깊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따뜻한 분위기에서 부족한 저의 인생과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으면 해요. 열심히 다이어트도 하..
2020.02.18 -
에필로그와 프롤로그의 뜻은 뭘까요?
에필로그와 프롤로그의 뜻은 뭘까요? / 안녕하세요 딥앤와이드입니다. 오늘은 작가들이 꼭 알아야할 에필로그와 프롤로그의 뜻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영화나 책에 볼 때 많이 접해봤던 단어일텐데요. 의미는 알되 자세한 뜻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 오늘 포스팅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정확한 정의로 이 두 단어를 배워보도록 해요! 에필로그 (Epilogue) 에필로그의 사전적 정의는 시가, 소설, 연극의 끝나는 부분 / 소나타 형식의 악장에서, 부주제 뒤에 작은 종결부입니다. 연극에서는 극의 종말에 나오는 끝대사나 보충된 추가 장면을 뜻하죠. 연극의 끝 부분에 가면 배우가 무대에서 연극에 대한 마지막 말을 하고 관객에게 인사를 하는 폐막사가 있는데요. 그것도 에필로그의 한 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해하..
2020.02.13 -
하나의 책이 만들어지는 과정 <이석환 작가 - 집에 혼자 있을 때면>
1월에는 이석환 작가님의 산문집이 나온다. 평소에 좋아하던 작가님이었고 오래전부터 책 이야기를 나누었던 터라 순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내가 자의로 작가님의 책을 기획하고 낼 수 있다는 점과 작가님이 가지고 있는 우리 출판사에 대한 믿음은 이 책을 만드는 데 아주 좋은 원동력이 됐다. 보통 글을 2년 이상 쓴 작가들은 어느 정도의 '원고량'을 가지고 있다. 그동안 쓴 글들을 차근히 살펴보면 원고에 담을 것과 담지 않아도 되는 것들이 눈에 보이는데 그것을 먼저 1차적으로 분류하고 작업을 시작하는 편이다. 그렇다면 책의 콘셉트는 어떻게 잡을까? 우리 출판사는 작가의 아이덴티티를 가장 중요시하기 때문에 기존 원고에서 많은 영감을 발굴한다. 이석환 작가님도 마찬가지. 수많은 문장들을 살펴보다 발견..
2020.01.08